세부내용
전공
거시경제
담당과목
경제변동론, 거시경제학, 사회과학방법론, 경제성장론, 경제학사, 여성과 경제
학력
ㆍ 1998,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박사
ㆍ 1995,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석사
ㆍ 1987, 경북대학교, 철학과, 문학사
ㆍ 1985, 경북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사
주요 논문
ㆍ 복지국가의 붕괴? 독일의 경기침체와 독일식 경제성장 모형의 한계, 경상논총 42(3): 1-20, 2024.
ㆍ국민 복지를 위해 인플레이션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경상논총 41(1): 1-20, 2023.
ㆍ 복지와 성장 그리고 안정: 독일의 재정준칙과 법정 최저임금제, 경상논총 40(4): 1-25, 2022.
ㆍ Confucianism and COVID-19 Pandemic Economic Crisis in the East Asia, 경상논총 39(4): 57-76, 2021.
ㆍ IS-LM 모형과 거시경제학에서의 역할-라카토슈의 과학적 연구프로그램 방법론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57(1): 185~213, 2009.
ㆍ 한국경제에서 성장과 분배: 바두리.마글린 모형을 중심으로, 질서경제저널, 12(3): 43~61, 2009.
ㆍ 맨큐의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와 대안적 재해석, 사회경제평론, 30: 331~358, 2008.
ㆍ Ahnenkult, Produktionsweise und Geschlechterverhaeltnisse im Neuen China und im Neuen Aera China, Das Argument: Zeitschrift fuer die Philosophie und Sozialwissenschaft, 268: 122~128, 2006.
ㆍ 성장과 분배: 새로운 경제 성장 모형 정립을 위한 보울리 법칙(Bowley's law)의 재검토, 경제발전연구, 11(1): 27~49, 2005.
ㆍ 경제학과 젠더: 성별경제학(gender economics) 정립을 위한 근대경제학 비판, 경제학연구, 51(2): 151~177, 2003.
ㆍ 경쟁과 대자본화-과잉설비와 장기불황에 대한 논쟁사적 접근, 경제학연구, 51(1): 137~162, 2003.
ㆍ Sozialer Fortschritt: Die Reform der koreanischen Sozialpolitik und die produktive Wohlfahrt (with W. Cho), Sozialer Fortschritt, 2002(6): 135~146, 2002.
ㆍKonkurrenz, Ueberproduktion, und Ueberakkumulation, Berlin: Verlag Dr. Koester. 1999.
주요 저서
ㆍ 경제철학과 경제학방법론. 박영사, 2024.
ㆍ 비주류경제학과 대안경제학 1. 박영사, 2022.
ㆍ 여성과 경제 : 한국에서 여성 호모에코노미쿠스로 살기. 박영사, 2020.
ㆍ 경제위기의 역사 : 위기는 자본주의 경제의 숙명인가 (번역서). 한울, 2017.
ㆍ 여성주의 경제학: 젠더와 대안 경제, 한울, 2014.
주요경력
ㆍ 2025~현재 한국경제학회 이사
ㆍ 2022~2023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자문위원
ㆍ 2020~2022 한국장학재단 비상임이사
ㆍ 2018~2021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 책임전문위원
ㆍ 2016~2018 광주광역시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 실무위원
ㆍ 2014~2015 방문교수, Department Economic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Boston, U.S.
ㆍ 2011~2014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심판담당 공익위원
ㆍ 2006~현재 한독경상학회 이사, 한국사회경제학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