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관 사진
직위
조교수
전화번호
6927
학위
국제관계학박사
전공분야
정치학
연구실
교수연구동 3104호

학력

  • Moscow State University 정치학 학사/석사
  • Moscow State University 대학원 국제관계학(러시아·CIS) 박사

경력

  •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경북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강사
  • 한국교통대학교 초빙교수 및 강사
  •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사범대학교 부교수(2009-2012)
  • 북극학회 대외협력 부회장
  • 한국 슬라브·유라시아학회 이사/회원
  • 한국북극컨소시엄(KoARC) 운영위원
  •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수소·에너지 특별위원
  • 해양수산부 자문위원
  • 코레일 자문위원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인력개발원 외래 강사

논문

  • 1. 북극에서 러시아의 미국/NATO에 대한 위협 인식과 방어 강화 – 러시아의 관점(2024)
  • 2. 러시아의 북극 해양 안보 정책: 2022년 ‘해양 독트린’을 중심으로(2023)
  • 3. 비투스 베링 캄차카 원정대의 탐사에 관한 연구(2023)
  • 4. 러시아 철도발전 전략의 현황과 한계점(2022)
  • 5. 북극 정책 추진과 전략 연구: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2022)
  • 6. 유라시아 직결항로인 러시아 북동항로(Northest Passage)의 개발과 경제적 가치(2022)
  • 7. 지속 가능한 러시아 북극 원주민의 미래: 청소년 미술 공모전 출품작을 통해서 본 사하공화국 북극 원주민의 삶(2022)
  • 8. 유라시아 통합물류운송 시스템 구축전략 연구: 북극항로를 중심으로(2022)
  • 9. ЦЕЛИ И ЗАДАЧ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ПОЛИТИКИ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В АРКТИКЕ(Эволюция и перспективные направления)”(2021)
  • 10. 우랄-시베리아 자원지대와 북극항로 연계된 러시아 북극 철도회랑 개발정책 연구(2021)
  • 11. 커피로 본 러시아 근대사(2020)
  • 12. Стратегия развития арктических регионов России и приоритеты политики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в Арктике: возможности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2020)
  • 13. ЭЛЕКТРОННЫЙ ФРОНТИР КАК МОДЕЛЬ ЦИФРОВОЙ ТРАНСФОРМАЦИИ В РОССИИ(2019)
  • 14. 러시아 북극권 철도 회랑 연구: 벨코무르(Belkomur Corridor)와 북위도 철도 회랑(Northern latitudinal Railway)을 중심으로(2019)
  • 15. 러시아 소수민족 전통문화 보존에 관한 연구: 투바 민속음악 “호메이(Хоомей)”를 중심으로(2019)
  • 16. 북극해의 지리적 특성과 유엔 해양법 협약을 통해서 본 관할권(2018)
  • 17. 러시아의 시베리아 북극권 에너지자원 개발전략과 한•러 에너지 산업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2018)
  • 18. 슈발바르 군도를 둘러싼 노르웨이와 러시아의 관할권 갈등(2017)
  • 19. Направления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КНДР 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перспективе(2017)
  • 20. 러시아 교통물류 발전전략: 북극지역을 중심으로(2016)
  • 21. Проблемы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туризма в Российской Арктике(на примере полуострова Таймыр)(2016)
  • 22. Геополитические интересы России в отношении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EXPERIMENTUM, Москва(2007)

저서

  • 1. 『북극철도, 그 희망의 길』(2023, 이앤북스)
  • 2. 『지금 북극은: 제3권 북극, 지정·지경학적 공간』(공저, 2021, 학연문화사)
  • 3. 『지금 북극은: 제1권 북극, 개발과 생존의 공간』(공저, 2020, 학연문화사)
  • 4. 『러시아 북극 공간의 이해: 서북극권과 서시베리아의 지정, 지경 및 지문화적 접근』(공저,2018, 학연문화사)
  • 5. 『북극의 눈물과 미소: 지정, 지경, 지문화 및 환경생태 연구』(공저, 2016, 학연문화사)
  • 6. 『Геополитические проблемы в отношениях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о странам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Москва, 2009, Воробьёв(ISBN 978-5-93883-067-7))

학술연구사업 수행실적

  • 1. “유라시아 직결항로인 러시아 북동항로(Northest Passage)의 개발과 경제적 가치”(한국연구재단(NRF), 2021)
  • 2. “유라시아 통합물류운송 시스템 구축전략 연구: 북극항로를 중심으로”(한국연구재단(NRF), 2020)
  • 3. “우랄-시베리아 자원지대와 북극항로 연계된 러시아 북극 철도회랑 개발정책 연구”(한국연구재단(NRF), 2019)
  • 4. “러시아 시베리아·북극 연계 융합 연구: 지정, 지경, 지문화 및 생태환경관광학적 분석”(한국연구재단(NRF) 2019년도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2019~2022, 공동연구원)
  • 5. “21세기 러시아의 중점개발공간: 서북극권과 서시베리아의 지정, 지경 및 지 문화적 통합연구”(한국연구재단(NRF), 2016~2018, 참여연구원)
  • 6. “한국사회의 미래 성장동력 차원으로써 북극 공간 종합 연구”(한국연구재단(NRF), 2015~2016, 공동연구원)
    • <정책보고서 수행실적>
    • 1. “러·우 사태, 세계경제전쟁의 서막: 한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Issue Foces, (한국해양전략연구소(KIMS), 2022)
    • 2. “한국 북극해 정책의 현황과 발전과정, 한계점” 한국해양전략연구소 정책보고서 시리즈 No.2021-02 (한국해양전략연구소(KIMS), 2021)
    • 3. “TSR 운송경쟁력 제고방안 연구”(코레일 경영연구처, 2020)
    • 4. “러시아 광물자원 및 목재산업 동향”(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2019)
    • 5. “북극항로와 연계된 러시아 북극권 내륙교통망과 개발정책 분석 - 철도교통망을 중심으로” (극지연구소, 2018)

해외한인 지식자원 주요발굴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