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위
- 교수
- 전화번호
- 7629
- 학위
- 문학박사
- 전공분야
- 러시아어학/재외한인 지식자원
- 연구실
- 본관3층 3115호
학력
- 조선대학교 러시아어과 문학사
- 모스크바국립대학교(MSU) 러시아어학 석사
- 모스크바국립대학교(MSU) 러시아어학 박사
경력
- 조선대학교 러시아어과 조교수 (2011-현재)
- 조선대학교 교수평의회 기획간사 (2016-현재)
- 조선대학교 총동창회 상임이사 (2016-현재)
- 2015세종학술우수도서 선정 (『글로벌 디아스포라와 세계의 한민족(2014)』)
- 한국러시아문학회 편집위원 (2012-현재)
- 동북아연구소 동북아연구 편집위원 (2012-현재)
- 한국동북아학회 이사 (2012-현재)
- 한국세계지역학회 이사 (2008)
- 대통령 표창 (소속 단체 2008)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연구위원 (2011-현재)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전임연구원 (2007-2011)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2007-2010)
- 200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언어유형론1,2,3 (공저, 2008, 월인)」)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2003-2006)
- 조선대학교 외래교수 (2002-2011)
- 전남대학교 외래교수 (2009-2011)
- 청주대학교 외래교수 (2002-2003)
- 천안외국어대학교 외래교수 (2002-2003)
- 고리끼문학대학교 전임강사 (2000-2001)
- 국비유학 (1994-2001)
- 국비유학생 선발시험 합격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1993)
논문
- A Study on Cultural Connotations of Proper Nouns in Russian (2015)
- 재일코리안 한국계 민족학교의 학교문화 특성에 관한 연구 (공저, 2015)
- Concept of VODA in Russian language (2014)
- Metaphorical Meaning of Zoonyms in Russian and Korean (2014)
- The study of Proverbs and Sayings in Russia (2013)
- Derivational characterization of 'LIFE' and 'DEATH' (2012)
- Conceptualization of Reality in Language (2012)
- 러시아어 어결합을 통해 본 'Жизнь'과 'Смерть'의 개념(2011)
- 중국 코리안디아스포라 노인세대의 민족정체성 연구(공저, 2011)
- 러시아어 관용표현 이론과 연구 역사 조명(2011)
- 청년실업자들의 일본 취업 활성화를 위한 민단의 역할과 방안(공저, 2010)
-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양상 표현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2009)
- 세계한상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통한 한민족공동체 활성화 방안(공저, 2009)
- Conceptualization of 'Death' in Russian Proverbs (2009)
- 개념체계로서의 은유(2008)
- 동사 'Умирать'의 어휘의미 분석(2008)
- 동사 'Жить'의 어휘의미 분석(2008)
-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러시아어의 격(2007)
- 러시아어 재귀표현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2007)
- 러시아어 수동태의 유형 연구(2006)
- 러시아어 ‘Svoboda’의 개념 연구(2005)
- 러시아어 관용구의 원형 연구(2005)
- 단어 의미의 민족적 요소(2004)
- 단어의 문화적 암시의미 성분 -동·식물과 조류의 명칭을 중심으로(2004)
- 러시아어 문장의 종류와 형식에 대한 유형론적 접근(2003)
- 러시아어 명사의 유의어 관계 연구(2002)
- 러시아인들의 언어의식 연구(2001) 외
저서
- 『글로벌 디아스포라와 세계의 한민족』(공저, 2014, 북코리아)
- 『(고등학교) 러시아어 독해Ⅰ-Ⅱ』(공저, 2014)
-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주루트와 기억』(공저, 2013, 북코리아)
-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공저, 2012, 북코리아)
- 『이미지로 보는 한국ㆍ한국인』(공저, 2012, 북코리아)
- 『연해주 고려인 : 1920-30년대 법, 생활규정, 교육강령』(공저, 2012, 북코리아)
- 『언어유형론 1 (품사, 문장유형, 어순, 기본문형)』(공저, 2008, 월인)
- 『언어유형론 2 (격, 부치사, 재귀구문, 접속표현)』(공저, 2008, 월인)
- 『언어유형론 3 (시제와 상, 양상, 조동사, 수동태)』(공저, 2008, 월인)
학술연구사업 수행실적
- “러시아/독립국가연합(CIS) 지역 한인 연구” (한국연구재단)
- “러시아어 접속표현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 “동북아시아 민족분산과 문화영토/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 “근현대 한인디아스포라 지식자원 발굴과 DB 구축” (한국연구재단)
- “재외한인 연구” (한국연구재단)
- “사회과학 Ⅲ+Ⅳ 분야 DB구축” (한국연구재단)
- “세계 주요 9개 언어의 유형론적 비교연구 : 한국어, 영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한국연구재단)
해외한인 지식자원 주요발굴자료
- ‘대동공보’, ‘권업신문’, ‘청구신문’, ‘해조신문’, ‘한인신보’, ‘선봉’ 등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연해주 지역에서 발행된 독립운동 관련 한글신문 1,835일 분량 스캔,
- ‘대원군 캐리커처’ (1894년)
- ‘명성황후 캐리커처’ (1895년)
- ‘러-일 전쟁 당시 평양성 앞에 운집한 일본군을 담은 사진엽서’ (1904년)
- ‘조선에서 활동하는 첩보원을 위한 러-한 사전’ (1904년)
- ‘조선개화사’ (1904년)
- ‘경인통람’ (1912년)
- ‘시정25년사’ (1935년)
- ‘Живописная Россия, Том двенадцатый, Часть вторая //Приморская и амурская области’ (П.П. Семенов, 1895년)
- ‘Путешествия Пржевальского в восточной 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М.А. Лялина, 1897년)
- ‘Корея’ (1904년)
- ‘Приамурский край 1906-1910 г.г.’ (П.Ф. Унтербергер, 1912년) 등 러시아 전역에 산재한 근·현대 한민족지식자원 5,000여건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