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전공 Track
외환론/금융
담당과목
경영경제의 이해, 무역데이터분석, 외환론, 국제금융론, 아시아경제론
학력
2011, 고려대학교, 경제학박사
2007, 고려대학교, 경제학석사
2005, 고려대학교, 경제학사
1999, 환일고등학교 졸업
주요논문 및 저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인구구조와 지역내총생산(GRDP) 간의 관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022, 제35권 제2호, forthcoming.
・“지방정부의 가계이전지출이 지역 민간소비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2022, 제24권 제1호, pp. 3-27.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에 대한 수렴성 검정”, 『e-비즈니스연구』, 2022, 제23권 제1호, pp. 127-143.
・“The Various Effects of Technology Trade on Sustainable Market Value of Firms in the OECD Countries”, Sustainability 2021, Vol. 13, Issue 22, 12671.
・“광주광역시 내 에너지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고용효과 분석”, 『기업과혁신연구』, 2021, 제44권 제4호, pp. 193-206.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업과 생활폐기물 간의 관계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34권 제6호, 2021, 제34권 제6호, pp. 1521-1537.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출이 기능적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공정책연구』, 2021, 제38권 3호, pp. 355-380.
・“지역의 생산-분배 소득 갭이 민간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재정정책논집』, 제23권 제3호, 2021, pp. 125-156.
・“노동소득분배율과 출산율: 16개 시도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GRI연구논총』, 제23권 제3호, 2021, pp. 143-163.
・“Fiscal Shocks and Output Growth in China”, 『재정정책논집』, 제23권 제2호, 2021, pp. 71-94.
・“부가가치 측면에서 한국의 무역 성과에 관한 연구: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질서경제저널』, 제24권 제1호, 2021, pp. 47-72.
・“FTA 수입활용이 소비자물가 변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관세학회지』, 제22권 제1호, 2021, pp. 135-154.
・“마이크로 의료로봇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의 고용효과 분석”, 『지역개발연구』, 제53권 제2호, 2021, pp. 175-197.
・“국고보조사업의 재정 특성별 맞춤형 재정관리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논집』, 제26권 제1호, 2021, pp. 117-151.
・“동북아시아 은행의 수익성과에 관한 연구 -민간 부문 은행을 중심으로”, 『동북아경제연구』, 제32권 제3호, 2020, pp. 1-37.
・“광역자치단체별 재정지출이 고용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재정지출구조와 산업구조를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제22권 제3호, 2020, pp. 77-111.
・“1990년 이후 수출이 고용에 미치는 시변적 영향”, 『무역연구』, 제34권 제2호, 2020, pp. 245-260.
・“최저임금 인상의 비기대 충격이 산업 특성과 일자리 특성별 고용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제33권 제4호, 2020, pp. 1225-1244.
・“인구집적에 기초한 소비의 질과 출산의 결정”, 『지방행정연구』, 제34권 제2호, 2020, pp. 101-116.
・“Alternative Approaches to Achieve East Asian Financial Integration: Evidence from Stock Prices”,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Vol. 16, No. 2, 2020, pp. 1-18.
・“인구구조의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광주와 전남을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제22권 제1호, 2020, pp. 3-36.
・“중국의 환율 불균형과 수출성과에 관한 연구”, 『기업과혁신연구』, 제43권 제1호, 2020, pp. 101-116.
・“한국과 중국, 아세안의 무역 및 분업구조 분석”, 『기업과혁신연구』, 제42권 제4호, 2019, pp. 1-38.
・“최저임금제도가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8권 제3호, 2019, pp. 175-205.
・“광역자치단체별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과 경제성과에 대한 영향”, 『국가정책연구』, 제33권 제3호, 2019, pp. 125-146.
・“한국과 미국 간 무역에서 환율과 상대가격의 비대칭적 효과 분석: 비선형 ARDL 모형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32권 제4호, 2019, pp. 1543-1564.
・“인도네시아의 산업구조 변화와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동남아시아연구』, 제29권 제3호, 2019, pp. 81-121.
・”R&D 투자를 통한 생산성 변화가 OFDI에 미치는 영향”, 『기업과혁신연구』, 제42권 제2호, 2019, pp. 23-37.
・“조세의 변동이 종사상 지위별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32권 제2호, 2019, pp. 985-1010.
・“환율의 변동성과 불균형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 8개국을 중심으로”, 『무역연구』, 제15권 제3호, 2019, pp. 227-253.
・“국제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중국의 경제적 위상 변화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현대중국연구』, 제21권 제1호, 2019, pp. 73-104.
・“정부지출과 무역개방이 경제성과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 한국경제의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제21권 제2호, 2019, pp. 35-65.
・“세입분권이 청년고용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제20권 제4호, 2018, pp. 109-132.
・“빅데이터 및 AHP 방법론을 활용한 미래 유망산업 도출: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e-business』, 제19권 제6호, 2018, pp. 331-347.
・“OECD 국가와 비OECD 국가의 양자간 FDI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6호, 2018, pp. 2103-2129.
・“광역자치단체의 출산지원예산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3호, 2018, pp. 555-579.
・“주택가격 변동요인 분석: 아시아와 유럽 간 비교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3호, 2018, pp. 1031-1056.
・“국가 간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서비스산업의 상호 연관구조”, 『질서경제저널』, 제21권 제2호, 2018, pp. 23-46.
・“OECD와 비OECD 국가의 양자간 FDI 결정요인 분석”, 『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6호, 2018, pp. 2103-2129.
・“기술혁신이 청년고용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 제35권 제4호, 2017, pp. 59-86.
・“기술무역의 기술혁신 및 고용창출 효과 분석”, 『재정정책논집』, 제19권 제4호, 2017, pp. 69-94.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와 효과 분석”, 『현대중국연구』, 제19권 제2호, 2017, 제19권 제2권, pp. 35-72.
・“지역에서 연구개발투자와 고용 간의 관계 분석”, 『지방재정논집』, 제18권 제2호, 2017, pp. 167~190.
・“우리나라 지역에서 고용의 결정요인 분석”, 『재정정책논집』, 제19권 제2호, 2017, pp. 95~116.
・“도자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30권 제2호, 2017, pp. 397~416.
・“연구개발투자와 지역 경제성장 간의 관계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30권 제2호, 2017, pp. 793~818.
・“R&D투자의 연구수행주체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비즈리스리뷰』, 제10권 제1호, 2017, pp. 19~32.
・“중국의 금융변동과 경기변동: 31개 성별 자료의 실증분석”, 『현대중국연구』, 제18권 제3호, 2016, pp. 1~33.
・“해외송금과 경제성장의 관계 분석: 금융발전을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제18권 제4호, 2016, pp. 121~144.
・“충남의 미래 유망산업 도출: AHP 기법을 이용하여”, 『산업경제연구』, 제29권 제5호, 2016, pp. 1629~1650.
・“수출다변화 정책에 관한 소고: 브라질의 산업구조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비즈리스리뷰』, 제9권 제3호, 2016, pp. 1~17.
・“휴학의 노동시장 성과: 대학졸업생 중 39세 이하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6, pp. 1~22.
・“외생적 재정충격의 고용창출 효과”, 『질서경제저널』, 제19권 제1호, 2016, pp. 19~40.
・“외국인직접투자의 유형별 결정요인 분석”, 『재정정책논집』, 제17권 제4호, 2015, pp. 71~106.
・“정부보조금이 기업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효과 분석: 지역산업지원사업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재정정책논집』, 제16권 제4호, 2014, pp. 77~103.
・“국제곡물가격 변동성의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7권 제4호, 2014, pp. 1393~1412.
・“기술혁신과 고용 간의 관계 분석: 우리나라 제조업을 대상으로”, 『재정정책논집』, 제16권 제2호, 2014, pp. 103~135.
・“Women's Education and the Timing and Level of Fert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uropean Economics, Vol. 49, Issue 9, 2014, pp. 1693-1700.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현황과 과제”, 『동아연구』, 제32권 제2호, 2013, pp. 51~90.
・“Financial Deepening and Business Cycle Volatility in Korea,” Applied Financial Economics, Vol. 23, Issue 21, 2013, pp. 1693-1700.
・“한국에서 환율의 불균형과 변동성 간의 상호 관련성”, 『한국산업경제저널』, 제5권 제1호, 2013, pp. 55~73.
・“우리나라 조세정책 변화와 고용창출 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 제31권 제1호, 2013, pp. 5~32.
・“한국에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상호관련성: 16개 시도의 패널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경제연구』, 제30권 제3호, 2012, pp. 19-43.
・“경기동향과 실업률 간 장기적 관계의 안정성,” 『국제경제연구』, 제18권 제1호, 2012, pp. 89-110.
・“패널자료를 활용한 세계 식량생산함수 추정,”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2, pp. 499-506.
・“Panel SVAR Model of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Economic Growth: A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n and EU Countries,” Social Science Journal, Vol. 49, No. 3, 2012, pp. 386-389.
・“식량위기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농촌경제연구』, 제35권 제3호, 2012, pp. 61-86.
・“한국에서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에 대한 금융심화의 역할”, 『산업경제연구』, 제25권 제4호, 2012, pp. 2645-2664.
・“동아시아 국가의 환율변동 요인 분석”, 『동남아시아연구』, 제22권 제3호, 2012, pp. 1-37.
・“여성취업비율과 모의 연령별 출산율 간의 내생성 분석”, 『여성경제연구』, 제9집 제1호, 2012, pp. 25-47.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재정정책논집』, 제14권 제2호, 2012, pp. 3-31.
・“광역자치단체의 지방정부 소비지출과 지역경제성장,” 『GRI연구논총』, 제14권 제1호, 2012, pp. 66-86.
・“동아시아 주요국의 주가 변동요인 분석”, 『국제경제연구』, 제17권 제3호, 2011, pp. 65-89.
・“불확실성 전이에 따른 환율 변동성 원인분석: 금융시장간 정보전이 접근법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4권 제3호, 2011, pp. 1479-1501.
・“동아시아 국가에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상호관련성: 패널 SVAR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1호, 2011, pp. 3-26.
・“인구구조의 변화와 교육투자의 효율성”,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6, 2011, pp. 2528-2534.
・“Output Volatility and Growth in Korea, China and Japan,” Journal of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Vol. 15, No. 1, 2011, pp. 87-111.
・“산업집적 외부성에 관한 연구”, 『GRI연구논총』, 제12권 제2호, 2010, pp. 1-24.
・“국가별 교육효율성 지수의 측정 및 활용,” 『비교경제연구』, 제17권 제2호, 2010, pp 39-66.
・“중도절단회귀 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육류수요분석: 준 이상 수요체계적 접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9권 제6호 2007, pp. 2889-2902.
・“아시아 공동통화의 기본균형환율 추정과 환율정책: 아시아 8개국을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9권 제5호, 2007년, pp. 2407-2424.
・“준 이상 수요체계(AIDS)를 이용한 한국의 육류수요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9권 제3호, 2007, pp. 1197-1210.
・“KDB 분기 거시경제모형”, 『한국산업은행 조사월보』, 2007년 10월, pp. 1-42.
진행 중인 논문
・IP Trade,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Is There Convergence in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
・Exchange Rate and Productivity Growth : the Role of Trade Openness
・Aging and Labor Income Share in OECD Countries
・Fertility, Inequality and Trade
・유동성의 수준과 변동성이 자산가격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동남아시아에서 여성의 교육, 고용 및 출산에 관한 연구
・교육투자의 효율성과 형평성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저서
・경제발전과 소득분배(2판), 학림출판사, 2022, forthcoming.
・조세제도의 고용효과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6.
・동아시아 공동체 : 동향과 전망, 아산정책연구원, 2014.
・Environmental Impact, WIT press, 2012.
・The Promise of ICTS in ASIA, Jimoondang, 2008.
주요경력
15년 9월 ~ 현재 조선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15년 3월 ~ 현재 한국재정정책학회, 총무이사
15년 3월 ~ 현재 한국개발연구원, 자문위원
13년 10월 ~ 현재 공공정책성과평가연구원, 자문위원
13년 5월 ~ 15년 8월 한국동남아학회, 「동남아시아연구」 편집위원
13년 3월 ~ 15년 2월 한국재정정책학회, 이사
12년 3월 ~ 15년 8월 IBK경제연구소, 연구위원
11년 9월 ~ 12년 2월 고려대학교, BK21 경제통계교육사업단 연구교수
08년 2월 ~ 09년 2월 Visiting Researcher in East Asia Economic Centre, ISIS Malaysia
기타
- 논문심사 : 『경제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산업경제연구』, 『재정정책논집』, 『한국경제연구』,
『서비스연구』, 『무역학연구』, 『동남아연구』, 『제도경제연구』, 『무역연구』, 『산업혁신연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