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목적
교육목적러시아/CIS국가와의 경제 및 문화 교류에 기여할 수 있는, 6C 전공능력(소통, 융합, 창의, 특성화, 도전정신, 사회공헌)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
교육목표 및 학과운영
문화와 예술과 과학의 나라 러시아는 한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가까운 이웃나라로서 개혁 개방 이후 체제변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세계 3위의 외환보유고를 자랑하는 우리의 8번째 교역시장입니다.
30년 전통의 조선대학교 러시아어학과에서는 실무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6C 전공능력(Communication 소통, Convergence 융합, Creativity 창의, Characterization 특성화, Challenge 도전정신, Contribution 사회공헌)을 갖춘 융복합형 글로벌 실무인력 양성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러시아 관련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연구인력 육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3단계에 걸쳐 특화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제1단계: '소통', '사회봉사' 능력 배양 - 러시아어에 대한 체계적 집중훈련을 통해 러시아어 해독·회화·작문 능력을 배양하고, 아울러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프로그램을 영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교육 수요자들로 하여금 목표성취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하고 국제적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합니다.
- 제2단계: '특성화', '창의' 능력 배양 - 러시아의 역사·문화·정치·경제·사회 등에 관한 지식을 러시아어 원문자료를 통해 습득하도록 함으로써 교육 수요자들이 전문직업인의 길을 갈 수 있도록 합니다.
- 제3단계 '융합', '도전정신' 능력 배양 - 취업 극대화를 위한 전공 특화교육의 일환으로 권위 있는 겸임교수 지도하에 단기 집중형 실무교육을 실시하여 무역전문가를 양성하고, 공직 및 대기업에 진출 할 수 있도록 외국어인증시험 고득점 취득을 유도하며, 중·고등학교 러시아어 교사로 취업할 수 있도록 교직교육을 실시합니다.
-
졸업 후 진로
- 러시아어과 졸업 후 철도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관광공사, 수자원공사, 러시아 관련 무역회사, 해운/선박회사, 러시아어권 해외 대사관 및 영사관, 해양경찰청, 경찰청 외사계, 항만공사, 호텔, 면세점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 최근 삼성전자, LG전자, GS그룹, 현대자동차, 영산그룹, 오리온 및 한국야쿠르트 등 많은 한국 기업들이 러시아 및 CIS에 진출하여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 특히,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일련의 '남·북', '한·미', '북·미', '북·중', '한·러'. '북·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21세기 신대륙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러시아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전망입니다.